관리 메뉴

자연이지요

21-5 소아 복학(腹瘧=자라병) 본문

신약中心(+구세신방+우주와신약) /신방(神方)-Ⅲ.소아병

21-5 소아 복학(腹瘧=자라병)

soul mentor 운권청천雲捲晴天 2018. 3. 12. 17:46

 5) 소아 복학1)(腹瘧=자라병)

 

: 가미청간탕(加味淸肝湯)을 푹 달인 뒤에 찌꺼기는 짜 버리고 국물이 1홉 가량 되게 만들어 그릇에 담아 장독 위에 얹어놓고 하룻저녁 이슬을 맞혀 복용한다. 3첩(三貼)을 달여서 복용할 때는 반드시 이슬을 맞혀서 복용해야 한다.

 

※ 가미청간탕(加味淸肝湯)

: 원시호(元柴胡)ㆍ산치자(山梔子)ㆍ백작약(白芍藥)ㆍ당귀(當歸)ㆍ천궁(川芎)[去油 : 쌀뜨물에 하룻저녁 담가 기름을 빼고 말림]ㆍ별갑(鱉甲)[炒 : 불에 볶은 것] 각 7푼,  현호색(玄胡索)ㆍ빈랑(檳榔)ㆍ청피(靑皮)ㆍ귤피(橘皮)ㆍ반하(半夏)ㆍ원감초(元甘草)ㆍ주사(朱砂) 각 5푼, 생강 5쪽.

위에서 주사(朱砂)는 함께 달이는 것이 아니다. 다른 약재들을 다 달인 약물에 5푼을 타서 먹는 것이다.


대인복학(大人腹瘧)에는   <구세신방 337쪽>

원시호(元柴胡)ㆍ산치자(山梔子)ㆍ백작약(白芍藥)ㆍ당귀(當歸)ㆍ천궁(川芎)[去油 : 쌀뜨물에 하룻저녁 담가 기름을 빼고 말림]ㆍ별갑(鱉甲)[炒 : 불에 볶은 것] 각 1돈반,  현호색(玄胡索)ㆍ빈랑(檳榔)ㆍ청피(靑皮)ㆍ주사(朱砂) 각 1돈을 푹 달여서 3첩(三貼)을 조복(調服 : 어떤 약에 다른 약을 타서 먹음)하라.


활인방76. 小兒腹瘧(자라병)

<宇宙와 神藥 181쪽>

◈加味淸肝湯

柴胡ㆍ山梔子ㆍ白芍藥ㆍ當歸ㆍ川芎去油ㆍ鱉甲醋炒 各七分, 玄胡索ㆍ檳榔ㆍ靑皮 各七分, 橘皮ㆍ半夏ㆍ元甘草 各五分, 熟湯後에 藥碗을 장독 위에 놓고 夜間寒露 一宿後 服用하면 神效하다.


활인방76_0. 大人腹瘧

<宇宙와 神藥 181쪽>

柴胡ㆍ山梔子ㆍ白芍藥ㆍ當歸ㆍ川芎去油ㆍ鱉甲醋炒 各一錢半, 玄胡索ㆍ檳榔ㆍ靑皮ㆍ朱砂 各一錢 調服하라.


1) ⦗한의⦘ 어린아이에게 생기는 병의 하나. 비장이 부어 배 속에 자라 모양의 멍울이 생겨 한열(寒熱)이 심하며 몸이 쇠약해짐. 자라배.